어렵지 않은 배치지만 당점의 원리를 이해하고, 기준을 잡고 응용까지 해봅시다. ■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널 멤버십 가입을 통해 샤넬마스터 채널을 후원해주세요. (링크) '커피 한잔' 사주신다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선택금액이 월마다 후원됩니다.) 🤍🤍youtube.com/channel/UCJL89uIEllRzwZV47uPELvg/join ■ 실시간 방송 참여/요청사항 등 - 카톡 : 오픈채팅 '샤넬마스터' 검색 - 메일 : youtube_chanelmaster🤍naver.com ■ 레슨/연습실 문의 - 카톡 : 오픈채팅 '탄도연습실' 검색
뭔지 이해가 갑니다
예를들면 투가락칠때 상단을 주고쳐야 짧게 떨어지고
하단을 주고치면 길게 늘어지는원리
당구 처음 입문할때는
반대로생각 했었거든요
40은9, 30은13, 20은 20 으로 치면 되는데 수구를 9,13,20지점으로 보내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세요. 꼭 좀 부탁드려요.
3~4번 반복 시청합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영상 배치는 쉽게 칠 수 있는 라인에 내공 앞공 뒷공이 놓여있어 득점이 용이한 배치인 것 같습니다. 아쉬운 점은 내공과 앞공의 기울기가 다르고 뒷공이 1~2포인트 짧고 긴 배치에 대한 설명이 없어서 아쉽습니다.
옆돌리기를 할때, 2적구가 30에 있어서, 2포인트로 13에 보내는걸 생각해서, 공을 치셨는데요,
그럼, 레슨 3에서 했던, 분리각을 이용해서 치는거와, 비교를 하면, 옆돌리기 배치가 왔을때,
두 방법중에 어느게 더 실용적인건가요??
저같은 하점자에게 참으로 유용한 강의 늘 감사한 맘으로 잘 보고 있슴다. 일반적으로 뱅크 샷 할 때 하단 당점으로 하여 타구하면 할수록 내공이 길어지는 효과가 나타나는 건가요?
투쿠션 보고 우라나 하꾸 치는데 헷갈렸었는데(감에 의존), 기준점이 있으니 한결 수월 할거 같고, 고수로 가는 지름길이 될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우연히 보게됫는데 정말 이해가 쉽네요 자주 볼게요 감사합니다1
넣어치기 출발각은 수구기준인가요?1적구기준인가요?
20으로 보내는 것은 당점이 어찌 되나요?
넣어치기에서 상단주면 끌린다는 말이 도무지 이해가 않갑니다. 상단주는데 왜 끌리는지요?
혹시 제생각이 맞지 않나 싶어서 적어보니 탄도님의 생각을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적구가 쿠션과 가깝기 때문에 수구를 상단주고 치면 수구가 쿠션으로 입사한 후 1적구를 맞은 후 힘을 많이 가지고 있어서 옆으로 퍼지지 않고 바로 쿠션으로 반사되면서 분리각이 커지는 현상때문에 끌린다고 하시는 것이 아닌지요?
원뱅크 감사 9. 30 - 13 .40 포인터 ~
근데. 복면은 왜 합니까.
원규션 지점을 어떻게 정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떤분을 미러법으로 원규션 지점을 정하다고 하는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왠 복면? 거부감 생기네요!
당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는 좋은 레슨 입니다.
아래댓글에 상단은 끌리고 하단은 밀리는 이유를 물어보시는데 제 개인적인 생각은 상단은 공이 앞으로 굴러가면서 1적구에 강하게 부딪히니까 많이 꺽이는데 이게 끌리는 모양새가 나오니 끌린다고 표현하는거고 하단당점으로 내공을 치면 공이 앞으로 강하게 구르기전에 약하게 구르거나 미끄러지는 구간에 1적구에 부딪히면 1적구에 충격이 덜가서 분리각도 적어지고 두껍게 맞더라도 부드럽게 밀리는 모양새가 나오죠 물론 하단당점으로 공을 칠때 주의해야 할거는 임팩트가 강하거나 스트록을 빠르게 가속시키면 1적구에 공이 맞을때까지 백스핀이 남아있으면 공이 끌리니까 이런 끌어치는 효과가 안나오게 부드러운 등속스트록을 간결하게 팔로우해야한다 생각해요
샤넬님 정도되니까 탄도님 정도되는 선생을 모실 수 있었던것 같네요 두분 다 훌륭하세요
방송 잘보고 있습니닿
근데 다른 부분은 이해가 가는데 해설중에 원쿠션 기준이 없는데 이건 감으로 처야 되는 건가요 ㅜㅜ
원쿠션 기준 잡기가 애매 해서 늘 힘들었는데 이부분도 가능 하심 알려 주시면 정말 감사 하겠습니다
보기를 잘했네요. 감사합니다.